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바디스윙
- EBS
- webdav
- webmin
- debian9
- 모하비
- iomega
- traefik2
- parallel to usb
- ebs 녹음
- 커널 5.13.8
- pihole
- openmediavault
- SAMBA
- omv
- 골프 스윙
- 나인봇 미니 충전
- macvlan
- h6000ii
- 마클미러
- proftpd
- tm-ac1900
- BCM94352Z
- nginx
- AC68U
- wrt54g
- omv5
- Stretch
- Nas
- uboot
- Today
- Total
해피 투게더
자동차 부품 교체주기[펌] 본문
자동차는 대체로 금속제, 플라스틱제, 고무, 유리로 된 부품들이 대부분이며, 여기에 액체류 부품으로 기름, 물 등이 들어갑니다. 자동차의 정비는 대체로 이들 부품 중 소모성이 강한 부품들의 수명이 다 되면서 이들 부품들을 교환, 수리 또는 조정하는 것입니다. 사고로 인한 수리는 별개로 하지요. 대체로 금속제 부품의 수명이 가장 길며, 플라스틱제, 고무, 액체류 부품의 순서로 수명이 짧아집니다.
1. 엔진 윤활, 흡기계통 : 엔진오일, 오일휠터, 에어휠터가 있으며 대체로 5,000-10,000km 주행 후 교환합니다. 운행이 적은 차량이라도 1년에 한번은 무조건 교환하세요.
2. 엔진 연료계통 : 연료휠터가 있으며, 경유엔진에서는 연료휠터가 1,2차로 2개 있기도 합니다. 대체로 20,000-40,000km에서 교환합니다.
스로틀 바디(휘발유 엔진), 기화기(LPG 엔진) 내부 세척 : 엔진 공회전시 rpm이 불안정하다면 세척을 고려하세요. 특히, LPG 엔진은 정기적으로 기화기 세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엔진 냉각계통 : 냉각수(부동액)이 있으며, 수도물에 부동액을 40-50% 섞어서 냉각수 보조물통과 라디에터에 주입합니다. 대체로 2-3년마다 교환합니다. 냉각수 부족시 수도물을 채워도 당장은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좋지 않으니 부동액 농도에 맞는 냉각수로 보충하세요. 부동액도 차량별로 지정된 것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래된 차량에선 라디에터 캡이나 서머스탯, 라디에터 고무, 라디에터를 교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타이밍 벨트 교환시 워터펌프, 냉각수는 함께 교환합니다.
4. 엔진 점화계통 : 점화플러그(20,000km), 고압코드, 배전기(비후다)캡, 로터(40,000km)등을 교환합니다. 경유차에는 없습니다.
5. 전기계통 : 배터리, 발전기(퍼질 때까지 써도 됨, 대체로 2-5년 정도), 각종 전구(터지면 교환하되 한쪽이 나가면 반대쪽도 함께 교환), 각종 휴즈(터지면 일단 용량에 맞는 것으로 교환한 후 해당 전기계통을 점검받을 것)
6. 엔진 외부벨트 3개 : 파워, 에어컨, 파워스티어링 벨트이며, 요즘은 원(one)벨트 시스템으로 된 차도 있습니다. 50,000km 주행이나 5년마다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에어컨 : 에어컨 가스가 있으며, 매년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에어컨 성능부족시에만 점검합니다.
8. 타이밍 벨트 : 엔진 내부의 벨트이며 대체로 7-10만km마다 교환합니다. 타이밍 체인으로 된 차량은 대체로 30만km마다 교환합니다. 타이밍 벨트 교환시 함께 교환하는 품목으로는 텐션베어링, 워터펌프, 냉각수, 고무오링 여러개, 경우에 따라서는 풀리(벨트가 물리는 것) 3개 정도도 교환합니다. 타이밍 벨트 교환작업은 비교적 큰 작업이므로 공임도 제법 됩니다. 대체로 부품대 + 공임 해서 30-40만원 정도 되지요.
9. 엔진 배기계통 : 5년 이상된 차량의 경우 엔진 배기관과 소음기(머플러, 마후라)가 삭아서 배기가스가 새면서 탱크같은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이 경우 3-4조각으로 된 배기관 중 삭은 배기관만 교환합니다.
10. 동력전달 계통 : 수동변속기의 경우 6만km 정도 되면 변속기 오일(기어오일)을 교환하고, 10만km 정도 되어 차가 잘 안 나가면 클러치 디스크 교환을 고려합니다. 자동변속기의 경우 대체로 4만-6만km마다 변속기 오일(자동 변속기 오일로서 차량마다 지정된 오일을 써야 합니다)과 변속기 휠터를 교환합니다. 추가로 4륜구동차의 경우 트랜스퍼 케이스 오일(기어오일), 후륜구동차의 경우 뒤쪽 디퍼렌셜(데후)오일(기어오일)도 변속기 오일과 함께 교환합니다.
전륜구동차의 경우 엔진의 구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부품인 등속 조인트의 고무 오링이나 고무 부트의 경화, 열화로 인한 고장의 경우, 고무부품만 교환하거나 등속 조인트를 통째로 교환합니다.
11.
제동계통 : 앞바퀴의 브레이크 패드가 뒤쪽보다 먼저 닳으므로 대체로 4만km 정도에서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비소에서 바퀴를
뺄 일이 있을 때마다 패드가 많이 남았는지 봐달라고 하세요. 브레이크 패드는 특별한 교체주기는 없으며, 운전습관에 따라
다릅니다. 뒷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은 앞에 것보다 1.5배-2배 정도 더 쓸 수 있습니다. 사이드 브레이크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조금씩 밀리게 되는데 이럴 때에는 뒷 브레이크 패드(라이닝)의 간극을 조정해주면 됩니다.
브레이크 액도 있는데 대체로 2-3년마다 교환합니다. 클러치 페달의 실린더에 채워진 액도 브레이크 액과 같은 액으로 동시에 교환합니다.
12.
현가장치 : 타이어는 대체로 5만-8만km나 5년 주기로 교환합니다. 운행이 적어도 오래 되면 고무가 경화되어 승차감, 안정감이
떨어집니다. 10,000km마다 타이어 위치교환을 하면 타이어 수명을 20% 정도 늘릴 수 있습니다. 타이어 교체나 위치교환
후에는 휠 밸런스를 맞춰야 합니다. 또, 휠 얼라인먼트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핸들이 떨리거나 쏠리는 경우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타이어 공기압은 1개월마다 점검하여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쇽 업소버(쇼바)는 대체로 4-5만km
정도에서 교환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쇼바는 교환하지 않고 몇년씩 타기도 합니다. 그러나, 쇽 업소버는 차량의 안정성, 승차감에
영향이 크므로 적당한 시기에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쇽 업소버와 함께 코일 스프링, 관련 고무부싱 등도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판 스프링으로 된 차량의 스프링은 부러지지 않는 한 교환하지 않습니다. 그 외에 10년 이상된 차량은 어퍼 암, 로어
암 등도 교환하기도 합니다.
13. 차체 내, 외장 : 윈도우 브러시(와이퍼 고무)는 유리가 잘 안 닦일 때 교환합니다. 대체로 1년 정도 씁니다. 뒷 유리에 와이퍼가 있는 차량은 함께 교환하세요. 윈도우 브러시를 교체해도 잘 안 닦인다면 유리를 잘 닦아보시고 오래된 차량이라면 윈도우 브러시 암(와이퍼 대)을 교환해보세요. 와이퍼 세척액은 세척액이 안 나올 때 보충합니다. 세척액이 다 되었을 때 노즐을 계속 작동시키면 모터가 탑니다. 깨끗한 맹물을 넣어도 상관없으나 겨울에는 얼기 때문에 곤란합니다. 와이퍼 액은 마트에도 많이 파는데, 삼계절용과 동계용이 있는데, 겨울에는 동계용 표시가 된 것만 넣으세요. 너무 싸구려는 파란 색소가 침착하여 와이퍼 물통과 호스, 노즐에 때가 잘 낍니다. 와이퍼 노즐이 막혀서 액이 잘 안 나오면 바늘이나 핀으로 구멍을 살살 뚫어주면 됩니다. 노즐의 방향을 조정할 때도 바늘이나 핀으로 살살 틀어줍니다.
5년 이상 된 차량이 고속주행시 바람소리가 많이 들린다면, 문짝 테두리 고무(웨더 스트립)를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도 싸고 방음효과가 좋습니다.
10년 이상 된 차량의 문짝유리의 오르내림이 시원찮으면 문짝유리 테두리 고무가 경화된 것이니 교환하세요.
14. 엔진 미미, 변속기(밋션) 미미 : 엔진이나 변속기를 차체에 고정시키면서 진동을 흡수하는 부품입니다. 차량의 진동이 커지면 교환을 고려합니다.
15. 실린더 커버 가스켓(잠바 카바 가스켓), 오일팬 가스켓 : 10년 이상된 차량에서 엔진의 오일이 많이 샌다면 교환합니다.
대체로 이 정도입니다. 이 외에도 차량이 오래 되면 다른 속 썩이는 부품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10년 이상된 차량은 액체성 부품은 물론 고무나 작동부의 플라스틱으로 된 부품은 거의 다 교체시기가 되었다고 보면 무리가 없습니다.
참고로, 위의 부품들의 정확한 교체시기는 사실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정비사들도 정확히는 모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들도 경험상 대략 짐작할 뿐이지요.
신 차에 붙어나오는 사용 설명서에 보면 주요 소모성 부품들의 교환주기가 나와 있으니 참고할 수 있습니다. 차량마다 부품 교환주기에 차이가 있으니 이것이 비교적 정확하지요. 그보다는 오너가 자기의 차량을 꼼꼼히 기록, 관리하면서 경험적으로 느낀 것이 상당히 정확할 수 있습니다.
위의 지침들을 복사하여 차계부에 붙여두고 수시로 들여다 보면서 차량관리에 참고하면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차계부를 쓰는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차계부에는 연료비, 정비내역, 주차/통행료, 보험료, 공과금, 사고처리비, 차량용품 등을 기록할 수 있는데 이것들을 다 쓰기 힘들다면 적어도 연료비와 정비내역 정도는 꼭 기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정비내역을 적어두어야 위와 같이 많은 정비항목들을 헛갈리지 않고 관리할 수 있으며, 장거리를 달리더라도 어딘가 고장날 것 같은 막연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으며, 정비소에서 바가지 쓸 가능성을 줄여줍니다. 한마디로, 차계부 기록유지는 효율적인 차량관리에 필수요건입니다.
정비비는 부품대와 공임으로 이루어지는데, 공임은 작업의 난이도에 따른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부품대보다 공임이 더 비싼 경우도 있습니다. 정비비는 차량마다, 부품마다, 정비소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비싼 정비를 할 때에는 사전에 여러 정비소를 다니며 가격과 수리내역을 먼저 알아보세요.
마지막으로, 자동차를 잘 관리하려면 정비와 차량구조에 대한 개론서 정도는 1권 정도 1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큰 서점에 나가시면 오너 드라이버를 대상으로 한 서적이 많이 있으니 잘 골라보세요